부동산정보

서울 아파트 취득세 계산법 – 1주택·다주택 차이점 정리

feel-11 2025. 3. 7. 21:22

아파트를 구매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세금 중 하나가 취득세입니다.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하는 즉시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로, 보유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1주택자와 다주택자는 취득세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주택을 추가로 매입할 계획이라면 반드시 세금 부담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아파트 취득세 계산법과 1주택·다주택자의 차이점, 감면 혜택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서울 아파트 취득세 계산법 – 1주택·다주택 차이점 정리


📌 1. 취득세란?

취득세 정의

  • 부동산(아파트, 주택, 토지 등)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 주택의 가격과 보유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므로 사전에 정확한 세금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득세 납부 기한

  • 잔금 지급일 또는 등기일 중 빠른 날로부터 60일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
  •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연체 이자)**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취득세 계산 시 포함되는 금액

  • **매매 가격 + 옵션 비용(발코니 확장 등) + 부대 비용(중개 수수료, 등기 비용)**이 포함됩니다.
  • 취득세는 이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2. 1주택자의 취득세율과 계산법

1주택 취득세율
1주택자의 취득세율은 주택 가격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주택 가격 취득세율
6억 원 이하 1.1%
6억 원 초과 ~ 9억 원 이하 2.2%
9억 원 초과 3.3%

 

취득세 계산 예시 (1주택자)

  • 5억 원 아파트 구매 시
    • 취득세 = 5억 × 1.1% = 550만 원
  • 8억 원 아파트 구매 시
    • 취득세 = 8억 × 2.2% = 1,760만 원
  • 10억 원 아파트 구매 시
    • 취득세 = 10억 × 3.3% = 3,300만 원

📌 1주택자는 기본 세율이 적용되므로 세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 3. 다주택자의 취득세율과 계산법

다주택자(2주택 이상) 취득세율
2020년 7월 이후 정부 정책에 따라 다주택자의 취득세율이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보유 주택 수 취득세율
1주택 1.1%~3.3%
2주택 8%
3주택 이상 12%

 

취득세 계산 예시 (다주택자)

  • 2주택자가 5억 원 아파트 추가 매입 시
    • 취득세 = 5억 × 8% = 4,000만 원
  • 3주택자가 8억 원 아파트 추가 매입 시
    • 취득세 = 8억 × 12% = 9,600만 원

📌 2주택부터는 취득세율이 8%, 3주택 이상은 12%로 급격히 증가하므로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외: 일시적 2주택자는 1주택 세율 적용 가능

  • 기존 주택을 3년 이내(조정대상지역은 1년 이내) 처분하면 1주택자로 간주합니다.
  • 조정대상지역에 새집을 사는 경우 기존 집을 1년 내 매도해야 1주택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4.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 감면 혜택

감면 조건

  • 부부 합산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
  • 주택 가격 6억 원 이하(수도권 외 지역은 5억 원 이하)
  • 신규 분양 또는 기존 주택 구매 모두 포함

감면 혜택

  • 취득세 50% 감면 (최대 200만 원 한도)
  • 6억 원 이하 주택을 매입하면 취득세가 0원이 될 수도 있음

📌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는 취득세 감면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


📌 5. 취득세 절감 방법 및 유의 사항

취득세 절감 전략

  1. 생애 최초 주택 구입 감면 혜택 활용
  2. 일시적 2주택자의 경우 기존 주택을 정해진 기간 내 매도
  3. 취득세 감면 혜택이 있는 지역 및 정책을 확인

취득세 신고 및 납부 방법

  • 인터넷 신고: 위택스(www.wetax.go.kr)에서 신고 및 납부 가능
  • 오프라인 신고: 관할 시·군·구청 방문 후 신고 및 납부

취득세를 내지 않으면?

  • 기한 내 신고·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연체 이자) 부과
  • 미납 시 등기이전이 불가능할 수 있음

📌 취득세는 주택 매매 과정에서 반드시 사전에 계산하고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세금입니다.


✅ 결론: 취득세를 줄이려면 미리 계획하세요!

1주택자는 기본 취득세율(1.1~3.3%)이 적용되므로 부담이 적습니다.
2주택부터는 취득세율이 8%, 3주택 이상은 12%로 급격히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는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신청하세요.
일시적 2주택자는 기존 주택을 정해진 기간 내 처분하면 1주택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아파트를 매입할 계획이라면 취득세를 미리 계산하고, 감면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