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

2025년 부동산 보유세 계산법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 절세 전략까지

feel-11 2025. 3. 8. 22:34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보유세를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납부해야 합니다. 특히 2025년부터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과 세율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보유세 부담이 일부 변화될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차이점, 계산법, 1주택자 및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 변화, 그리고 절세 전략까지 상세히 정리하겠습니다.

2025년 부동산 보유세 계산법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 절세 전략까지


📌 1. 부동산 보유세란?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차이점)

보유세란?

  •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만으로 매년 부과되는 세금
  •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종부세)로 구성

재산세 vs 종합부동산세 차이점

구분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 모든 부동산 공시가격 11억 원(1주택) 이상 주택
부과 기준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공시가격 합산 기준 초과 시 부과
납부 시기 7월, 9월(2회 분납 가능) 12월 (1회 납부)
과세 주체 지방세 (구청, 시청 관할) 국세 (국세청 신고)

 

  • 재산세는 모든 주택에 부과되며, 종부세는 일정 기준(공시가격 11억 원 초과)을 넘는 경우에만 추가 부과됨.
  • 1주택자는 공시가격 11억 원까지 종부세 비과세, 다주택자는 공시가격 합산 기준으로 과세함.

📌 2. 재산세 계산법 (2025년 기준)

재산세 계산 공식
재산세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2025년 공정시장가액비율

  • 공시가격 × 60% (2024년 45% → 2025년 60%로 인상)

2025년 재산세율

과표구간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세율
6천만 원 이하 0.1%
6천만 원 ~ 1억5천만 원 0.15%
1억5천만 원 ~ 3억 원 0.25%
3억 원 초과 0.4%

 

재산세 계산 예시

📌 시나리오 1: 공시가격 5억 원 주택 보유 (1주택자 기준)

  • 공정시장가액비율 = 5억 × 60% = 3억 원
  • 세율 적용 = 3억 원 × 0.4% = 120만 원
  • 재산세 = 120만 원

📌 시나리오 2: 공시가격 10억 원 주택 보유 (1주택자 기준)

  • 공정시장가액비율 = 10억 × 60% = 6억 원
  • 세율 적용 = (6천만 원 × 0.1%) + (9천만 원 × 0.15%) + (1억5천만 원 × 0.25%) + (3억 원 × 0.4%)
  • 재산세 = 30만 원 + 13.5만 원 + 37.5만 원 + 120만 원 = 201만 원

📌 💡 재산세 절감 TIP:

  • 재산세는 주택 공시가격이 낮을수록 절감 가능
  • 공시가격 인하 신청(이의신청)을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3.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계산법 (2025년 기준)

2025년 종부세 과세 기준

구분 2024년 기준 2025년 기준
1주택자 종부세 기준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공시가격 11억 원 초과
다주택자 종부세 기준 공시가격 합산 9억 원 초과 공시가격 합산 9억 원 초과

 

종부세 계산 공식
(공시가격 합산 - 공제금액)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2025년 종부세율

과표구간 (공시가격 - 공제금액) 1주택자 세율 다주택자 세율
3억 원 이하 0.5% 1.2%
3억 초과 ~ 6억 원 이하 0.7% 1.6%
6억 초과 ~ 12억 원 이하 1.0% 2.2%
12억 초과 1.5% 3.0%

 

종부세 계산 예시

📌 시나리오 1 : 1주택자 (공시가격 13억 원 주택 보유)

  • 과세 대상 금액 = 13억 - 11억 = 2억 원
  • 공정시장가액비율(60%) 적용 = 2억 × 60% = 1.2억 원
  • 세율 적용 (0.5%) = 1.2억 × 0.5% = 60만 원

📌 시나리오 2: 다주택자 (공시가격 15억 원 & 8억 원 주택 보유)

  • 합산 공시가격 = 15억 + 8억 = 23억 원
  • 과세 대상 금액 = 23억 - 9억 = 14억 원
  • 공정시장가액비율(60%) 적용 = 14억 × 60% = 8.4억 원
  • 세율 적용 (2.2%) = 8.4억 × 2.2% = 184.8만 원

📌 💡 종부세 절감 TIP:

  • 1주택자는 장기보유특별공제 활용 가능 (최대 80%)
  • 다주택자는 증여·법인 명의 활용 시 세금 부담 경감 가능

✅ 결론: 2025년 부동산 보유세 절세 전략

 

공시가격이 낮아지면 보유세 부담이 줄어듦 → 공시가격 이의신청 활용
1주택자는 공시가격 11억 원까지 종부세 비과세 → 장기보유특별공제 적극 활용
다주택자는 법인 명의 또는 배우자 증여를 통한 절세 전략 필요
재산세는 7월, 9월 / 종부세는 12월에 납부 → 미리 대비하여 자금 계획 세우기

💡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재산세와 종부세를 미리 계산하고, 효과적인 절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